본문 바로가기
고2/수업 관련 지문

인플레이션이란?

by Taylor English 2021. 1. 23.

인플레이션

어제 엄마에게 용돈을 올려달라고 했다가 혼만 났어. 엄마는 어릴 적에 나보다 적은 용돈을 받고도 저금까지 했다고 잔소리만 늘어놓으시는 거야. 옛날엔 어묵 한 개에 100원, 떡볶이 한 접시에 500원이었다면서? 요즘은 떡볶이 1,000원어치는 팔지도 않는다고! 또 어제 가보니 1,000원짜리 공책이 1,200원으로 오른 거 있지. 물건 값은 자꾸 오르는데 내 용돈만 제자리니, 이를 어쩌면 좋아!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책 - 물가는 왜 오를까?

물가는 오르고 돈의 가치는 떨어져
엄마와 시장이나 대형마트에 가면 얼마 전에 500원 하던 아이스크림이 700원으로 오른 것을 본 적이 있을 거야. 500원짜리 아이스크림이 700원으로 올랐다면 돈의 가치는 어떻게 된 것일까? 200원을 더 써야 되므로 돈의 가치가 떨어졌다고 할 수 있어. 공책 값 외에 다른 생활필수품 가격도 덩달아 오르면 지금보다 더 많은 돈을 써야 되므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더 많은 돈이 필요할 거야. 이렇게 물가가 오르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해. 가정에서 수입이 그만큼 오르지 않는다면 수입이 깎인 셈이니까 생활이 어렵게 되지.

〈인플레이션의 원인〉
① 수요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 수요는 크게 늘어나는데 그것에 맞추어 공급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인플레이션이야. 가계에 돈이 많아지면 소비가 늘어나는데 그만큼 물건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해. 이를 과잉 유동성 공급이라고 해.

② 비용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 제품의 생산비용이 오르면 제품 가격도 함께 올라서 전반적인 물가가 모두 올라. 예를 들면 수입하는 석유 값이 오르면 석유와 관련된 제품은 모두 오르게 되는 거지. 이것이 비용 인플레이션이야.

③ 단순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생산성으로 인한 공급의 부족 등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야.

물가가 오르면 여러 곳에 영향을 준대
인플레이션은 물가의 꾸준한 상승, 통화량의 확대, 화폐가치의 하락 현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어. 그래서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악성 암이라고 불리기도 해.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어.

①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은 손해를 보게 돼. 물가가 오른 만큼 월급을 올려주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거든. 그래서 소득 격차가 심해지고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일어나 사회가 불안정해지는 원인도 되지.

② 빚을 갚을 사람은 유리하고 빚을 받을 사람은 불리하게 돼.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빚을 갚기 쉬워졌기 때문이야. 빚을 진 사람은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니 부를 재분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어.

 상품 값이 비싸지면 더 비싼 값으로 수출해야 되니 수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또 국내 물건 값이 비싸지면 수입물품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날 거야. 무역수지를 적자로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어.

④ 화폐가치가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게 되면 저축을 할 경우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축하는 일이 줄어들어. 그로 인해 은행은 자금이 안 들어오니 자본 부족으로 대출이 줄어들게 되고 경제성장에 지장을 주게 돼.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소득 격차가 더욱 심해져 빈익빈부익부 현상을 초래하고, 우리의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돼.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저축하는 일이 줄어들어 은행의 자본이 부족해지고, 우리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줘.

인플레이션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돈을 줄이거나 상품 공급량을 늘려야 해. 물론 둘 다 하면 좋아. 사회에 돈이 많아지면 저축을 장려하고,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도 부족하지 않게 공급량을 늘리는 거지. 만약 물가상승의 원인이 특정 산업의 생산이 적기 때문이라면 그 분야의 생산성을 높여 주고, 유통 구조의 개선 등으로 공급량을 늘려줘야 해. 예를 들어 낙농 분야에서 소들이 병이 들어서 우유 생산량이 줄었다면 우유뿐 아니라 우유가 들어가는 제품들의 값이 모두 오르겠지? 그러면 정부는 낙농업계를 지원해서 소들의 병을 고치고 우유 값을 안정시키도록 하는 거지. 또 디플레이션 정책을 쓰는 경우도 있어. 디플레이션 정책이란 통화량을 줄이고 수요도 억제하고 재정지출을 축소해서 물가를 안정시키는 정책이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많은 나라들이 디플레이션 정책을 폈어. 그러나 디플레이션도 너무 심해질 경우 오히려 경제가 악화될 수 있어.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일어나면 이를 막기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해.
정책은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물가정책 수단으로는 총수요와 총공급을 알맞도록 조정하는 총수요억제정책이 있어.

읽을 거리 피자 값이 오른 이유가 중국 때문일까?

중국 시장이 개방된 이후, 중국은 원자재 블랙홀이라고 할 정도로 건설이나 각종 생산 원자재들을 엄청나게 많이 소비하고 있어. 덕분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지. 2009년 중국의 인구는 약 13억 명에 가까운데 그 인구의 입맛이 조금만 변해도 세계 음식재료 시장이 흔들릴 지경이라고 해.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쌀과 국수를 먹어 온 중국인들이 이제 빵과 치즈를 좋아하게 되자, 그 밀가루와 치즈 공급이 부족해져서 세계적으로 피자 값이 오른다는 거지.

읽을 거리 우유 한 잔에 일억 달러라고?

계란 3개를 사려면 1,000억 달러가 필요하고, 맥주 1잔을 마시려면 2,000만 달러짜리 지폐 1,000장 세 묶음을 내놓아야 해. 우유 1잔은 1억 달러, 신문 1부는 30만 달러, 버스 요금은 3,500만 달러.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이지만 실제로 짐바브웨에서 일어난 일이야. 초인플레이션이라고 해. 짐바브웨의 무가베 대통령이 백인들이 소유한 토지를 무상으로 회수해 흑인들에게 분배한 농지개혁을 했는데, 그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화폐를 마구 발행하면서 이런 현상이 시작되었어. 이는 정부에서 화폐를 남발하여 국민에게 주어 처음엔 좋았지만 돈 가치가 떨어지면서 물가가 폭등했기 때문이었지.

 

'고2 > 수업 관련 지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re the word Boycott comes from?  (0) 2021.01.27
Populism이란?  (0) 2021.01.22
How to find your direction of travel using google maps  (0) 2021.01.21
about owls  (0) 2021.01.16
가정법  (0) 2021.01.12

댓글